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

나이스 생기부, 집에서 생활기록부 보는 법

by 섬초 2025. 2. 16.
728x90

안녕하세요 :) 

 

오늘은 나이스 홈페이지를 통해 집에서 생활기록부를 열람하는 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생활기록부 조회는 물론, 파일을 컴퓨터에 저장할 수도 있고, 저장한 파일을 인쇄할 수도 있습니다.

생활기록부 제출을 요구하는 회사, 정신과 등에 제출할 서류를 간단히 준비할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 및 준비물 > 

1. 학교생활기록부는 재학생 및 2003년 이후 졸업생부터 온라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졸업이 03년 이후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기록을  모두 볼 수 있는데 그 이전의 세대, 부모님 세대는 온라인으로 조회 및 출력 불가능합니다.

2. 공인인증서 필요합니다. 개인정보다 보니 본인 인증을 요구합니다.

3. 공인인증서 로그인때문에 컴퓨터로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4. 무료 서비스. 결제없이 이용할 수 있는 국민 서비스입니다. 


 순서 안내 

1. 나이스 대국민서비스에 접속합니다.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나이스 대국민 서비스 홈페이지로 연결됩니다.)

 

 

홈에듀서비스를 클릭합니다.

 

2. 본인이 졸업한 학교 지역의 교육청 선택, 클릭합니다.

 

3. 온라인발급민원 - 학교생활기록부 클릭합니다.

 

4. 공동인증서( 구 공인인증서) 로그인 합니다.

 

5. 신청정보에 이름과 주민번호를 입력하고,  학교명 옆 버튼을 누릅니다. 학교명을 입력한 후 선택합니다.

 아래에 학교이름과 발급버튼이 뜨면 발급버튼을 클릭합니다.

6. 저장위치를 선택해 저장한 뒤,  파일을 열면 됩니다.

 

7. 저장된파일을 열 때 비밀번호가 필요합니다. 이 때의 비밀번호는 본인의 생년 월일입니다.

 

예를 들어, 본인이 2000년 2월 24일 생이라면 000224가 파일의 비밀번호인 것입니다.

 

파일을 열면 학생 시절 증명사진과 과목별 특성, 과목별 성적 및 석차,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등을 볼 수 있습니다.

 

절차를 한 눈에 정리해보면, 이렇게 되겠습니다. ​

 

3. 요약

 

나이스 대국민 서비스 접속 > 홈에듀 서비스 > 졸업한 학교 지역의 교육청 선택 > 온라인 발급 민원 > 학교생활기록부 > 공동인증서 로그인 > 신청정보 개인신상 입력 > 학교명 클릭 후 기재 > 발급버튼 클릭 > 컴퓨터 내 파일 저장위치 선택 및 저장 > 파일 열람 (비밀번호는 본인의 생년월일)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학년별로 기록된 성적이나 활동 사항들을 읽으니, 학창시절 기억이 새록새록 떠오릅니다. 

몇 학년 때 장래희망은 뭐였는지, 어떤 과목에서 몇 등을 했는지까지 전부 기록되어 있는 게 신기하기도 합니다.

선생님들이 저를 평가해놓은 문장들은 꽤 날카롭고 정확했습니다. 어떤 부분에 흥미를 갖고 있는지, 본인이 기재한 장래희망과 성향이 잘 맞는지, 성격도 관찰하고 적어두셨더군요. 학교 선생님들은 안 보는 것 같아도 학생들을 관찰하고 계셨나 봅니다. 어떤 과목의 선생님이 어떤 문장을 남기셨는지, 생활기록부를 되짚어 읽다보면 자연스럽게 과거회상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이 선생님은 어떤 이유에서 나를 이렇게 평가하셨을까 그 이유가 궁금해져서 자꾸 상상해보게 됩니다. 종합특성에 저 보고 긍정적이이라고 적어주신 담임선생님은 어떤 장면에서 그렇게 느끼셨는지 궁금했는데, 아무래도 제가 야간 자율학습 시간에 잠들어 학교에 갇혔을 때도 자고가면 된다고 별로 개의치 않아한 걸로 그렇게 평가하신 것 같습니다.

또, 제출용으로만 생활기록부를 살펴볼 게 아니라, 인생의 중대한 선택들 앞에서 자신이 어떤 걸 잘하고 좋아했는지 상기시키기 위해 활용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담이지만, 저는 학창시절부터 제가 알고 있는 것들을 친구들에게 공유하고 알리는 걸 좋아했었네요. 매년 학교 행사 때마다 그림 대신 글을 선택하고, 독서장제를 받았던 것으로 미루어 보아 글쓰기도 좋아했던 것처럼 보입니다. 그래서 오랫동안 블로그를 꾸준히 해온 것 아닐까 싶습니다. 어쩌면 성격 테스트나 사주보다 생활기록부가 더 신빙성 있고, 정확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자신이 살아온 궤적을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으니까요. 옛 기록과 정보들을 인터넷을 통해 집에서 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게 문명의 혜택인 것 같습니다. 그럼, 좋은 하루 보내세요 ^^.